투자전략
 

1755559636472.png

 

 

전 세계를 뒤흔든 AI 열풍의 한가운데, 그 'AI 아빠'라 불리는 샘 올트먼이 갑자기 "지금 이 시장, 버블일 수도 있어요"라고 말한다면? 실제로 지난주, 올트먼이 던진 이 한마디가 월스트리트와 기술 업계를 뒤흔들었습니다.

오늘은 올트먼의 경고가 왜 나왔는지, 그리고 이 말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가장 알기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왜 올트먼이 '버블'을 경고했을까?

 

올트먼의 발언은 크게 두 가지 이유에서 나왔습니다.

  1. 과열된 투자 열기: 올트먼은 지금의 상황이 1990년대 말 인터넷 기업들이 겪었던 **'닷컴 버블'**과 비슷하다고 말했습니다. 당시 많은 투자자들이 '인터넷'이라는 단어만 보고 수익도 없는 회사에 막대한 돈을 쏟아부었습니다. 올트먼은 지금 AI 시장도 똑같다며, 똑똑한 사람들이 'AI'라는 단어에 너무 흥분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2. 오픈AI의 불편한 진실: 정작 AI 산업의 선두주자인 오픈AI도 돈을 벌고 있지는 못합니다. 올트먼은 올해 오픈AI의 연간 매출이 **200억 달러(약 27조 원)**를 넘길 것이라고 밝혔지만, 아직도 '적자' 상태라고 고백했습니다.

    • 이게 무슨 말이냐고요? 매출은 엄청나게 늘었지만, AI 모델을 훈련하고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컴퓨팅 파워, 전력, 인건비)이 더 무섭게 늘고 있다는 뜻입니다. 마치 월급이 아무리 늘어도 씀씀이가 더 커서 늘 마이너스 통장인 것과 비슷합니다.

 

그럼 진짜 버블일까요? 'YES' vs. 'NO'

 

올트먼의 경고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은 두 갈래로 나뉩니다.

  • "버블이 맞다"고 말하는 사람들 (YES)

    • 토르스텐 슬록(Apollo Global Management): "지금의 AI 버블은 닷컴 버블보다 더 크다"고 주장합니다. 일부 기업들의 주가 거품이 당시보다 심각하다는 것입니다.

    • 조 차이(Joe Tsai, Alibaba): 투자자들이 AI의 잠재력만 보고 너무 빠르게 투자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 "아니, 버블은 아니다"고 말하는 사람들 (NO)

    • 레이 왕(Futurum Group): 그는 AI와 반도체 산업의 **'펀더멘털'**이 매우 탄탄하다고 주장합니다. 즉, AI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이미 우리 삶과 산업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어, 투자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이죠. 다만, 소수의 '묻지 마 투자'가 일부 기업들의 가치를 부풀리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결정적 차이: 닷컴 버블과 AI 버블, 뭐가 다른가?

 

이쯤 되면 궁금해집니다. "만약 버블이라면, 닷컴 버블처럼 시장이 통째로 망하게 될까?"

정답은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입니다. 왜냐하면 결정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구분 닷컴 버블 (1990년대) AI 버블 (현재)
수익성 대부분의 기업이 매출 0원에 가까웠음 오픈AI엔비디아(NVIDIA) 같은 리더 기업들은 이미 막대한 매출을 창출 중
실물 가치 '아이디어'와 '트래픽'에 의존했음 실제 제품(칩)과 서비스(클라우드, 소프트웨어)로 가치를 창출

 

결론적으로, AI 시장은 닷컴 버블처럼 통째로 무너지기보다는 '옥석 가리기'를 통해 진정한 승자만 살아남는 시기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체 없는 거품 기업들은 사라지겠지만, 탄탄한 펀더멘털을 가진 기업들은 계속해서 성장할 것입니다. 샘 올트먼의 경고는 시장의 과열을 식히는 동시에, 투자자들에게 신중한 투자를 당부하는 메시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https://www.cnbc.com/2025/08/18/openai-sam-altman-warns-ai-market-is-in-a-bubble.html?__source=twitter%7Ctech&taid=68a2de235786cd000157ba9f&utm_campaign=trueanthem&utm_medium=social&utm_source=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