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1752017914186.png

 

 

2025년 7월 9일 주요 기업 뉴스

 


 

인텔 (Intel Corp): 오레곤 공장 감원 시작, 구조조정 본격화 소식에 주가 급등

 

인텔이 오레곤주 힐스보로(Hillsboro) 공장에서의 감원을 시작하며 대규모 구조조정을 본격화하고 있다는 소식에 주가가 7% 급등했습니다. 인텔은 이미 올해 초부터 전 세계적으로 수천 명의 직원을 감원하며 비용 절감 및 효율성 증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번 오레곤 공장 감원은 '패브(Fab)'라고 불리는 제조 시설과 관련 부서에서 진행되며, 특히 인텔이 차세대 제조 공정 개발 및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됩니다.

이러한 감원은 인텔의 재정 건전성을 강화하고, AI 시대에 필수적인 최첨단 반도체 기술 개발에 자원을 집중하기 위한 고통스러운 과정으로 해석됩니다. 투자자들은 인텔의 이러한 단호한 구조조정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인텔은 파운드리 사업에서 TSMC와 같은 선두 주자들을 따라잡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감행하고 있으며, 이번 감원은 이러한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고 조직의 군살을 빼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넷플릭스 (Netflix Inc): 음악 예능 및 인터뷰 강화 위해 스포티파이와 논의

 

넷플릭스가 음악 예능 콘텐츠를 강화하고 아티스트 인터뷰 등 오디오 콘텐츠 분야를 확장하기 위해 스포티파이(Spotify)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넷플릭스가 오리지널 콘텐츠의 폭을 넓히고, 특히 음악 기반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새로운 시청자들을 유치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스포티파이는 세계 최대의 오디오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음악뿐만 아니라 팟캐스트, 오디오북 등 다양한 오디오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가 스포티파이와 협력한다면, 기존 음악 예능 프로그램의 깊이를 더하고, 아티스트들의 비하인드 스토리나 음악 제작 과정 등을 다루는 독점적인 인터뷰 콘텐츠를 제작하여 차별화를 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이 심화되는 OTT 시장에서 넷플릭스가 새로운 콘텐츠 영역을 탐색하고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됩니다.

 

메타 (Meta Platforms Inc): 35억 달러 규모 안경 대기업 에실로룩소티카 소수 지분 인수

 

메타 플랫폼스가 세계 최대 안경 제조업체이자 광학 기술 기업인 에실로룩소티카(EssilorLuxottica)의 소수 지분을 35억 달러 규모로 인수했습니다. 에실로룩소티카는 레이밴(Ray-Ban), 오클리(Oakley) 등 유명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으며, 렌즈 및 안경테 제조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지분 인수는 메타가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기기 개발, 특히 '스마트 안경'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메타는 이미 에실로룩소티카와 협력하여 '레이밴 메타 스마트 안경'을 출시한 바 있으며, 이번 투자를 통해 양사 간의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에실로룩소티카의 광학 기술과 메타의 소프트웨어 및 AI 역량이 결합된다면, 메타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메타버스' 구현에 필수적인 고성능 스마트 안경 개발에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월마트 (Walmart Inc): 아마존 프라임데이에 맞선 이커머스 강화

 

월마트가 아마존의 연례 할인 행사 '프라임데이(Prime Day)'에 대항하기 위해 이커머스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의 프라임데이는 매년 여름 큰 폭의 할인으로 소비자를 유인하며 이커머스 시장에서 독점적인 영향력을 행사해왔습니다. 이에 맞서 월마트는 자체적으로 **'월마트 플러스 위크(Walmart+ Week)'**와 같은 대규모 할인 행사를 기획하고 있으며, 온라인 쇼핑 경험 개선, 빠른 배송 서비스 확대, 그리고 자체 멤버십 프로그램(월마트 플러스) 강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월마트는 옴니채널 전략을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강점을 결합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광대한 오프라인 매장 네트워크를 온라인 주문의 픽업 및 배송 거점으로 활용하여 아마존과의 배송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 합니다. 또한, 온라인 재고 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개인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역량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유통 강자 월마트가 디지털 전환을 통해 아마존의 이커머스 지배력에 도전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려는 적극적인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아마존 (Amazon.com Inc): 프라임데이의 느린 출발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의 연례 최대 쇼핑 행사인 '프라임데이(Prime Day)'가 올해는 느린 출발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 월마트를 비롯한 다른 소매업체들의 경쟁 심화, 인플레이션과 높은 금리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 그리고 아마존 자체의 할인 폭에 대한 소비자 기대치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아마존은 프라임데이를 통해 프라임 멤버십 가입자를 유치하고 충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해왔습니다. 그러나 올해는 다른 유통업체들이 아마존 프라임데이와 비슷한 시기에 자체 할인 행사를 대대적으로 벌이면서 소비자들의 선택지가 넓어졌습니다. 또한,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해 소비자들이 지출에 더욱 신중해지고 있는 점도 프라임데이 초반 실적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행사의 남은 기간 동안 프로모션을 강화하고, 새로운 할인 혜택을 추가하는 등 반전을 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프라임데이의 최종 실적은 아마존의 2분기 매출과 향후 이커머스 시장 전망에 중요한 지표가 될 것입니다.

 

템퍼스 AI (Tempus AI Inc): 'TEMPUS Next' 제품, 암 식별 범위 확대

 

인공지능(AI) 기반 정밀 의료 기업 템퍼스 AI의 'TEMPUS Next' 제품이 폐암 진단에서 나아가 유방암까지 식별 범위를 확대했습니다. TEMPUS Next는 차세대 유전자 시퀀싱 및 AI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암 환자의 유전자 변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치료법을 제안하는 솔루션입니다. 기존 폐암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해온 이 제품이 유방암으로 범위를 넓히면서, 더 많은 암 환자들에게 정밀 의료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방암은 여성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유형이 다양하고 개인별 맞춤 치료가 중요한 질병입니다. TEMPUS Next가 유방암 식별에 활용됨으로써, 의사들은 환자의 유전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최적의 항암제 선택, 치료 반응 예측, 그리고 재발 위험 관리 등 보다 정교한 치료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템퍼스 AI가 암 진단 및 치료 분야에서 AI 기술의 적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정밀 의료 시대의 선두 주자로서 입지를 강화하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

 

보잉 (Boeing Co): 6월 항공기 인도 60대로 23년 12월 이후 최대치 기록

 

보잉이 6월 한 달 동안 60대의 항공기를 인도하며 2023년 12월 이후 월간 최대 인도량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최근 잇따른 품질 문제와 안전 논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보잉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보잉은 2분기에 총 138대의 항공기를 인도하여 전년 동기 136대보다 소폭 증가했습니다. 6월 인도량 급증은 2분기 후반에 생산 속도를 높였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공급망 문제와 품질 관리 강화 노력의 결과일 수 있습니다.

특히 737 MAX 생산은 6월에 35대, 2분기에는 83대가 인도되었습니다. 이는 보잉이 지난 1월 알래스카 항공 사고 이후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생산 제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생산 속도를 점진적으로 회복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비록 연간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여전히 갈 길이 멀지만, 이번 6월 인도량 증가는 보잉이 생산 안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고객사들의 인도 지연 우려를 다소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