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Tesla, TSLA): 머스크에 40조 원 규모 신주 지급 승인
테슬라 이사회가 일론 머스크 CEO에게 약 40조 원(290억 달러) 상당의 신주를 지급하는 보상안을 승인했습니다. 이 보상안은 기존에 주주총회에서 승인되었으나 델라웨어 법원에 의해 무효화되었던 560억 달러 규모의 스톡옵션 보상안을 대신해 새롭게 마련된 것입니다.
-
배경: 델라웨어 대법원은 2018년 주주총회에서 승인된 머스크의 스톡옵션 보상안이 "불공정하다"고 판결하며 무효화했습니다. 이에 테슬라 이사회는 머스크를 CEO 자리에 계속 남아있게 하기 위해 이번 보상안을 다시 추진했습니다.
-
보상 조건: 이번 보상안은 머스크가 2027년까지 테슬라의 핵심 경영자 지위를 유지하는 것을 조건으로 합니다. 또한, 만약 대법원이 기존의 보상안을 복원하라고 판단할 경우 이번 보상은 몰수 또는 취소되어 이중 지급이 없을 것이라고 명시했습니다.
-
시장 반응: 이번 결정은 테슬라의 미래 성장에 대한 머스크의 리더십을 공고히 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머스크의 지분율을 높여 회사에 대한 장기적인 헌신을 유도하는 동시에, 테슬라의 사업 초점이 전기차 생산에서 로봇택시 및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점에 그의 리더십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브로드컴(Broadcom, AVGO): AI 데이터센터용 신형 칩 'Jericho4' 출시
브로드컴이 AI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용 신형 이더넷 패브릭 라우터 IC 칩인 'Jericho4'를 출시했습니다. 이 칩은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되어, 데이터센터의 성능과 확장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
기술적 특징: 'Jericho4'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데이터센터 전반에 걸쳐 100만 개 이상의 XPU를 안전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단일 시설의 물리적 및 전력 한계를 넘어 AI 컴퓨팅 패브릭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각 시스템은 최대 36,000개의 포트를 지원하며, 각 포트는 브로드컴의 독점적인 HyperPort 인터페이스를 통해 3.2 Tbps의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
전략적 중요성: 이 칩은 AI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브로드컴이 AI 인프라 시장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대규모 AI 워크로드를 처리하는 클라우드 기업들은 GPU와 같은 연산 장치뿐만 아니라,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성능에도 큰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Jericho4'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중요한 솔루션이 될 것입니다.
애플(Apple, AAPL): AI 경쟁을 위한 'ChatGPT' 대항마 개발 중
애플이 AI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만회하기 위해 'Answers'라는 전담팀을 구성하고 'ChatGPT'의 대항마가 될 자체 AI 챗봇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개발 목표: 이 전담팀은 사용자들이 세계 지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간소화된 버전의 챗봇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오픈AI와 협력하여 Siri에 ChatGPT를 탑재하려던 계획에서 방향을 틀어, 자체적인 검색 기능이 강화된 AI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
전략적 의도: 애플의 AI 모델 개발은 아이폰, 아이패드, 맥 등 자사의 생태계 전반에 혁신적인 AI 기능을 통합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구글이나 OpenAI와 같은 AI 선두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
과제: 하지만 애플은 AI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몇 달간 여러 AI 연구원들이 메타와 같은 경쟁사로 이직하면서 빅테크 기업들 간의 AI 인재 쟁탈전이 치열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스포티파이(Spotify, SPOT): 주요 시장에서 프리미엄 구독료 인상 예정
스포티파이가 9월부터 유럽, 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중남미 등 여러 주요 시장에서 프리미엄 구독 요금을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프리미엄 개인 요금은 월 10.99유로에서 11.99유로로 인상됩니다.
-
인상 배경: 스포티파이는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를 구축하고, 콘텐츠 제공자들에게 더 많은 로열티를 지급하기 위한 재원 마련을 위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음반 회사들은 청취 여부와 상관없이 구독당 최소 일정 비율의 수익을 가져가는 조항을 스포티파이와 맺고 있기 때문에, 기본 구독료가 오르면 음반 회사들의 수익도 함께 증가하게 됩니다.
-
시장 반응: 이 소식 이후 스포티파이의 주가는 6% 이상 상승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구독료 인상이 단기적인 사용자 이탈 위험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는 회사의 수익성을 개선하고 플랫폼의 가치를 높일 것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팔란티어(Palantir, PLTR): 2분기 매출 10억 달러 돌파, 가이던스 상향
팔란티어가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분기 매출이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하며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호실적을 기록했습니다.
-
주요 재무 성과:
-
매출: 10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 예상치(9억 3,745만 달러)를 6.7% 상회했습니다.
-
주당순이익(EPS): 0.16달러를 기록하며 예상치(0.14달러)를 14.3% 상회했습니다.
-
미국 매출: 특히 미국 내 매출이 전년 대비 68% 급증하며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
-
가이던스 상향: 팔란티어는 강력한 실적에 힘입어 2025년 전체 매출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AI 기반 솔루션에 대한 정부 및 상업 부문의 수요가 견조함을 증명하는 동시에, 팔란티어가 AI 데이터 분석 시장의 리더로서 입지를 굳히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시장 반응: 실적 발표 후 팔란티어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4% 이상 상승하며 투자자들의 신뢰를 반영했습니다.
메르카도리브레(MercadoLibre, MELI): 2분기 이익 기대치 하회로 주가 하락
남미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메르카도리브레가 2분기 이익이 월가의 기대치를 밑돌면서 주가가 3% 하락했습니다.
-
실적 분석:
-
매출: 68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34% 증가, 시장 예상치(67억 달러)를 상회하며 매출 성장세는 지속되었습니다.
-
이익: 그러나 물류 및 인프라 투자 비용 증가,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인해 순이익은 기대치를 밑돌았습니다.
-
-
시장 반응: 비록 매출 성장세는 견조했지만, 수익성 하락에 대한 우려가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투자자들은 회사가 성장과 수익성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맞춰갈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스레드업(ThredUp, TDUP): 예상 뛰어넘는 실적 발표 및 가이던스 상향
온라인 중고 의류 플랫폼 스레드업이 예상치를 뛰어넘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연간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면서 주가가 8.3% 급등했습니다.
-
주요 재무 성과:
-
매출: 7,770만 달러를 기록하며 예상치(7,368만 달러)를 5.46% 상회했습니다.
-
주당순이익(EPS): -0.04달러를 기록하며 예상치(-0.05달러)보다 손실 폭을 줄였습니다.
-
활성 구매자 및 주문 증가: 활성 구매자는 17% 증가했고, 주문 건수는 21% 증가했습니다.
-
-
성장 동력: 회사는 AI 기반 제품 개선이 신규 구매자와 판매자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소비 트렌드 확산이 중고 패션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
긍정적 전망: 스레드업은 2025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앞으로의 성장 전망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힘스 앤 헐스(Hims & Hers Health, HIMS): 2분기 매출 컨센서스 하회로 급락
원격 의료 플랫폼 힘스 앤 헐스가 2분기 매출이 시장 컨센서스에 미치지 못하면서 시간외 거래에서 9% 이상 급락했습니다.
-
실적 분석:
-
매출: 매출은 전년 대비 73% 급증하며 5억 4,500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이는 시장 예상치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
이익: 주당순이익(EPS)은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습니다.
-
-
투자자 우려: 비록 이익은 좋았지만, 매출이 기대에 못 미치면서 투자자들은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경쟁 심화와 신규 고객 확보를 위한 마케팅 비용 증가가 성장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
회사 입장: 힘스 앤 헐스는 구독자 수(243만 명)와 평균 구독료(74달러)가 크게 증가했다며 구독 기반 성장 모델의 견고함을 강조했습니다. 회사는 3분기 가이던스 및 연간 전망을 모두 유지하며 시장을 안심시키려 노력했습니다.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 JOBY): 블레이드 에어 내 여객 사업 인수 발표 후 급등
조비 에비에이션이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블레이드 에어(Blade Air)의 여객 사업 부문을 인수한다고 발표한 후 주가가 14% 이상 급등했습니다. 최대 1억 2,500만 달러 규모의 이번 인수는 조비의 상업 운항 개시를 위한 핵심적인 단계로 평가됩니다.
-
인수 시너지: 조비는 블레이드 에어의 기존 헬리콥터 여객 노선과 고객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자사의 eVTOL(전기 수직 이착륙기) 상용 서비스를 빠르게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시장 경쟁: 이번 인수는 UAM 시장에서 조비의 입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상업적 운항을 위한 규제 승인과 인프라 구축에 대한 노력을 보여줍니다.
로켓랩(Rocket Lab, RKLB.US): 일본 지구 영상 기업 iQPS 위성 발사
로켓랩이 자사의 소형 발사체인 일렉트론 로켓을 이용해 일본의 민간 위성 기업 iQPS의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했습니다. 이번 발사는 iQPS가 추진 중인 36기 규모의 SAR 군집 위성 네트워크 구축의 일환입니다.
-
성공적인 임무: 위성은 뉴질랜드에 있는 로켓랩 전용 발사장에서 이륙한 후, 약 50분 만에 예정된 궤도에 정확히 배치되었습니다.
-
고객과의 파트너십: iQPS는 2023년부터 로켓랩과 발사 계약을 체결해온 오랜 고객입니다. 이번 성공은 소형 위성 발사 시장에서 로켓랩의 기술력과 신뢰도를 다시 한번 입증한 사례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협력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