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1754954581655.png

 

 

암호화폐 시장에 활기가 돌아오면서, 주요 기업들의 증시 상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받는 회사가 바로 *불리시(Bullish)'입니다. 불리시는 IPO를 앞두고 규모를 대폭 확대하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증명했습니다. 이 소식은 단순한 기업 상장 뉴스를 넘어, 암호화폐 시장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신호를 던지고 있습니다.

왜 불리시의 IPO에 주목하는지, 그 의미를 문답 형식으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Q1: 불리시(Bullish) IPO,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건가요?

 

A: 불리시는 당초 계획보다 더 큰 규모로 상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42억 달러(약 5조 7천억 원)의 가치를 목표로 IPO를 진행하려 했지만, 최근 투자자들의 뜨거운 반응에 힘입어 목표 가치를 48억 달러(약 6조 5천억 원)로 상향했습니다. 주식 발행량과 희망 가격도 모두 올렸습니다. 불리시는 3천만 주를 주당 32~33달러에 판매하여 총 9억 9천만 달러(약 1조 3천억 원)를 조달할 계획입니다. 이는 불과 일주일 전의 계획보다 훨씬 더 공격적인 수치입니다.


 

Q2: 왜 이 소식이 중요한가요? IPO 규모 상향이 의미하는 것은?

 

A: 이번 IPO 규모 확대는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강력한 신뢰를 보여줍니다.

IPO를 진행할 때 기업은 시장의 반응을 살피며 최종 가치를 결정합니다. 불리시가 목표 가치를 올렸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투자자가 "이 가격이라도 불리시의 주식을 사겠다"는 의사를 보였다는 뜻입니다. 불리시라는 이름(bullish: 시장이 강세인)처럼, 암호화폐 시장이 회복을 넘어 강력한 성장기에 접어들었음을 입증하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Q3: 불리시는 다른 거래소와 무엇이 다른가요?

 

A: 불리시는 기존 암호화폐 기업들과는 다른, 강력한 '정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월스트리트 전문가의 리더십: 불리시는 전 뉴욕 증권 거래소(NYSE) 사장이었던 톰 팔리(Tom Farley)가 이끌고 있습니다. 이는 불리시가 전통 금융 시장의 시스템과 규율을 잘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기존 금융권 투자자들에게 큰 신뢰를 줍니다.

  • 실리콘밸리 거물의 후원: 페이팔의 공동 창업자이자 유명 투자자인 피터 틸(Peter Thiel)이 불리시의 주요 후원자입니다. 피터 틸의 이름은 곧 '혁신과 성공'을 상징하기 때문에, 그의 지원은 불리시의 성장 잠재력을 보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 기관 투자자들의 러브콜: 이번 IPO에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BlackRock)과 혁신 기업 전문 투자사인 아크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ARK Investment Management)가 참여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는 불리시가 개인 투자자를 넘어, 막대한 자금을 굴리는 기관 투자자들에게도 매력적인 투자처로 인정받았다는 뜻입니다.


 

불리시 IPO, 암호화폐 시장의 미래를 어떻게 보여주나요?

 

불리시의 상장은 암호화폐 시장이 '주류 금융'으로 진입하고 있다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최근 미국 규제 당국이 암호화폐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크게 해소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불리시 외에도 써클(Circle),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제미니(Gemini)와 같은 여러 암호화폐 기업들이 연이어 상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장 붐'은 암호화폐가 더 이상 소수의 기술 마니아들만의 영역이 아니라, 월스트리트의 엄격한 기준을 통과하며 거대한 자본이 투자되는 주류 금융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불리시의 IPO는 그 변화의 중심에 서 있는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https://www.cnbc.com/2025/08/11/crypto-exchange-bullish-raises-ipo-size-seeks-nearly-5-billion-valuation.html?__source=twitter%7Ctech&taid=689a25055c0e4800014f8b77&utm_campaign=trueanthem&utm_medium=social&utm_source=twitter